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411

무급휴일 근로수당, 주휴수당, 근무수당 총정리 근로자라면 무급휴일에 수당이 지급되는지 궁금해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무급휴일 근로수당, 주휴수당, 근무수당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할까요? 무급휴일 무급휴일이란 휴가 기간동안 근로제공의무가 면제된 것으로 간주하여 근로자에게 급여를 지급하지 않는 휴일을 말합니다. 따라서 무급휴일의 반대말은 유급휴일입니다. 무급휴일 근로수당과 주휴수당, 근무수당이란? 근로기준법 제56조에 따르면 무급휴일에 근로를 하게 될 시 하루 8시간, 일주일 40시간을 초과하는 근로시간에 대해 연장근로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무급휴일에 초과 근로를 하게 된다면 연장근로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근로수당과 근무수당은 같은 의미입니다. 그렇다면 무급휴일은 주휴수당에 포함될까요? 만약 회사의 규정상 .. 2022. 1. 27.
유급휴일 수당, 유급휴일 근무수당, 근로수당, 주휴수당 총정리 근로자라면 유급휴일 수당에 관심이 없을 수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유급휴일 수당과 근무수당, 근로수당, 주휴수당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할까요? 유급휴일 유급휴일이란 휴가 기간동안 일을 한 것으로 간주하여 근로자에게 급여를 지급하는 휴일을 말합니다. 따라서 유급휴일의 반대말은 무급휴일 입니다. 유급휴일 수당과 유급휴일 근무수당, 근로수당, 주휴수당이란? 근로기준법 제55조 제1항에 따르면 사업장은 근로자에게 일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해야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근로자는 일주일동안 규정 근무일수를 충족하였을 시 유급휴일을 보장받을 수 있고 주휴수당을 지급받게 됩니다. 이 법은 5인 미만 사업장에도 동등하게 적용됩니다. 그러나 기준이 한가지 더 존재합니다. 근로기준법 제18조 제3.. 2022. 1. 27.
주휴수당 공휴일, 주휴수당 지각과 조퇴 시 지급은? 주휴수당은 근로자들이 누릴 수 있는 정당한 권리입니다. 그렇다면 주휴수당은 공휴일에는 어떻게 처리되고 지각과 조퇴 시에는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휴수당 공휴일 설명에 앞서 주휴수당의 개념과 적용기준에 대해 알아보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근로기준법 제55조 제1항에 따르면 사업장은 근로자에게 일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때 주어지는 유급휴일에 지급받는 임금이 주휴수당입니다. 또한 근로기준법 제18조 제3항에 따르면 근로자의 4주 근로시간을 평균 냈을 때 일주일당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일 경우 주휴수당을 지급받을 수 없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즉 4주 동안 총 60시간 이상의 근로시간을 충족할 시에 주휴수당을 지급받을 권리가 발생한다는 것입니.. 2022. 1. 26.
주휴수당 미지급 신고 방법, 주휴수당 미지급 벌금 총정리 근로기준법 제55조 제1항에 의하면 사업장은 근로자에게 일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유급휴일에 받는 임금이 바로 주휴수당입니다. 또한 주휴수당은 일주일동안 평균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 즉 4주동안 근로시간이 총 60시간이 넘어야만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은 미지급 신고 방법 주휴수당 미지급 신고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사업장 관할 지방고용노동청에 방문하여 신고하는 것입니다. 1.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홈페이지 접속 후 빨간 박스에 표시된 '지방청/고용센터찾기'를 클릭합니다. 3. 본인의 지역을 클릭하여 관할고용센터를 찾고 위치를 검색하여 방문 후 신고합니다. 설명을 위해 임의로 '대전/충청'을 클릭해보았습니.. 2022. 1. 26.
주휴수당 지급기준, 주휴수당 기본급 포함 계산 방법 주휴수당은 직장인이나 아르바이트를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궁금해할 수당입니다. 그렇다면 주휴수당의 지급기준과 주휴수당 기본급 포함 계산 방법은 어떻게 될까요? 주휴수당 지급기준 주휴수당은 유급 주휴일에 지급받는 임금을 말합니다. 근로기준법 제55조 제1항에 따르면 사업장은 근로자에게 일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해주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일주일동안 규정된 근무일수를 충족할 시 유급휴일이 주어지게 되고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5인 미만 사업장에도 적용되는 근로기준법입니다. 그러나 여기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근로기준법 제18조 제3항입니다. 근로기준법 제18조 제3항에 따르면 4주 동안 근로시간의 평균을 내었을 때 일주일당 근로.. 2022. 1. 26.
근로기준법 병가 규정과 병가 급여처리 총정리 직장인은 병가가 의무인지 아닌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렇다면 근로기준법 병가 규정과 급여처리는 어떻게 될까요? 근로기준법 병가 규정 근로기준법 제60조에 의하면 1년 이상,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는 15일의 유급휴가를 지급받을 수 있으며 1년 미만 근로자 또는 1년간 80% 미만 출근한 근로자는 1개월 개근 시마다 1일의 유급휴가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근로기준법상 병가는 따로 규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회사의 규정이나 협약에 따라 병가를 지급하는 회사도 있고 아닌 회사도 있을 수 있습니다. 병가는 근로기준법상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의무가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본인의 회사규정상 병가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근로자는 회사에 진단서를 제출하여 병가를 신청해야 합니다. 만약 .. 2022. 1. 26.
연차수당 소멸시효, 연차수당 촉진제도 총정리 연차수당은 직장인이라면 제공받아야 하는 중요한 수당에 속합니다. 그렇다면 연차수당의 소멸시효는 어떻게 되고 연차수당 촉진제도는 무엇일까요? 연차수당 소멸시효 연차는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1년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연차는 휴가 발생일 기준으로 1년이 지난 시점부터 수당으로 전환되며 수당 전환 시점부터 3년의 소멸시효가 적용됩니다. 따라서 수당 전환 후 3년 이내에 수당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연차수당 촉진제도 연차사용 촉진제도(연차사용 촉진제)는 발생한 연차를 기간 내에 사용하도록 사업장이 근로자에게 연차사용을 촉진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촉진에는 1차촉진과 2차촉진이 존재하며 근로기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1년 이상 근로자] 1차촉진 - 사업장은 연차사용기간 만료 6개월 전을 기준.. 2022. 1. 25.
연차수당 지급기준과 계산방법 총정리 연차수당은 직장인들에게 지급되어야 하는 주요 수당에 속합니다. 그렇다면 연차수당의 지급기준과 계산방법은 어떻게 될까요? 연차수당 지급기준 근로기준법 제60조 제1항과 제2항에 따르면 사업장은 1년동안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유급휴가 15일을 제공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근로 기간이 1년 미만이거나 1년동안 80%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는 1개월 개근마다 유급휴가 1일을 제공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요약] 1년 이상 근로, 80% 이상 출근 -> 유급휴가 15일 제공 1년 미만 근로 또는 1년동안 80% 미만 출근 -> 1개월 개근마다 유급휴가 1일씩 제공 여기서 연차가 쌓이게 되면 연차일수가 증가하게 됩니다. 근무기간별로 제공되는 연차일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차일수] 1년.. 2022. 1. 25.
주휴수당 계산법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주휴수당은 아르바이트나 직장을 다닐 때 자주 언급되곤 합니다. 그렇다면 주휴수당이란 정확히 어떤 것을 말하고 어떻게 계산할까요? 주휴수당 근로기준법 제55조 제1항에 의하면 사업장은 근로자에게 일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일주일 동안 규정되어 있는 근무일수를 충족했을 시 유급 주휴일이 주어지게 됩니다. 쉽게 말하자면 유급 주휴일에 받는 임금을 주휴수당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소정의 근로일수를 충족하였을 때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으며 5인 미만 사업장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사항입니다. 근로기준법 제18조 제3항에 의하면 4주 동안의 근로시간을 평균 냈을 때 근로시간이 일주일당 15시간 미만인 근로자에게는 주휴수당의 지급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2022. 1.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