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411

근로기준법 임금명세서, 급여명세서 발급의무 총정리 근로기준법이 개정되면서 임금명세서의 교부가 의무화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임금명세서에는 어떤 내용이 기재되어야 할까요? 임금명세서, 급여명세서란? 임금명세서와 급여명세서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 근로자에게 급여와 각종 수당 등을 지급한 내역을 기록하는 명세서를 말합니다. 근로기준법 임금명세서, 급여명세서 발급 의무화 근로기준법 제48조 제1항에 의하면 사업장은 각 사업장별로 임금대장을 작성해야 하며 임금과 가족수당 계산의 기초가 되는 사항, 임금 금액,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27조 '임금대장의 기재사항'에 속하는 사항을 임금을 지급할 때마다 작성해야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48조 제2항에 의하면 사업장은 임금을 지급할 시 근로자에게 임금의 구성항목, 계산방법, 임금의 일부 공제내역 등을 기재한 .. 2022. 1. 25.
근로기준법 시간외 근무수당, 초과근무수당 계산방법 정시출근, 정시퇴근은 모든 직장인들이 바라는 복지지만 지켜지지 않는 곳이 많습니다. 그렇다면 근로기준법 시간외 근무수당, 초과근무수당에 대한 계산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은 어떻게 명시되어 있을까요? 근로기준법 제50조에 의하면 일주일동안 근로시간은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도록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40시간에는 휴게시간은 포함되지 않으며 근로시간만 포함됩니다. 또한 하루의 근로시간은 8시간을 넘길 수 없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8시간도 마찬가지로 휴게시간이 포함되지 않은 근로시간을 말합니다. 근로기준법 제53조 제1항에 의하면 당사자 간에 합의가 있을 경우 일주일에 12시간의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자 간에 합의를 할 경우 주 52시간 근로가 가.. 2022. 1. 25.
근로기준법 해고예고, 해고사유 통지방법 사업장에서 직원을 해고하려고 한다면 어떻게 해고예고를 하고 해고사유는 어떻게 전달해야 할까요? 근로기준법 해고예고 근로기준법 제26조에 의하면 사업장에서 근로자를 해고하려는 경우 최소 한달 전에는 근로자에게 예고를 해야하며 근로자에게 한달 전에 예고하지 않았을 경우 한달 이상의 통상임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아래의 세 가지 경우에는 예고가 필요없도록 명시되어 있습니다. 1. 근로자가 3개월 미만으로 근로를 한 경우 2. 천재, 사변 등의 이유로 사업을 지속할 수 없는 경우 3. 근로자의 고의로 인해 사업에 큰 손실이나 지장을 초래하거나 재산상의 손해를 끼친 경우 근로기준법 해고사유 통지방법 근로기준법 제27조에 의하면 사업장이 근로자를 해고하기 위해서는 해고사유와 해고시기를 서면으.. 2022. 1. 24.
근로기준법 근무시간 휴게시간 총정리 직장에서 일을 하거나 아르바이트를 할 때 근무시간과 휴게시간은 가장 중요한 요소에 속합니다. 근로기준법 근무시간 근로기준법 제50조 제1항에 의하면 일주일 동안 근무하는 시간은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40시간은 휴게시간이 포함되지 않은 시간을 말합니다. 근로기준법 제50조 제2항과 제3항에 의하면 하루의 근로시간은 8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8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한 근로시간을 말합니다. 또한 근로자가 사업장에서 대기하는 시간도 근로시간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50조만 보았을 때는 주 40시간이지만 주 52시간이 가능한 이유는 근로기준법 제53조로 인해서 입니다. 제53조에 의하면 당사자 간의 합의를 통해 1주에 12시간의 연장근로가 가능하.. 2022. 1. 24.
근로기준법 퇴직금 지급규정, 퇴직금 중간정산 총정리 퇴직금은 직장인들에게 꼭 필요한 존재입니다. 그렇다면 근로기준법 퇴직금 지급규정은 어떻게 될까요? 근로기준법 퇴직금 지급규정 근로기준법 제34조 제1항에 따르면 사업장은 계속근로년수 1년에 대하여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 퇴직자에게 지급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1년 미만의 근로자에게 퇴직금을 지급하는 규정은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퇴직금은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해당되는 규정입니다. 또한 퇴직금은 하나의 사업장 내에서 차등을 두어서는 안되도록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사업장은 동일한 퇴직금 제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퇴직금 중간정산 가능할까? 근로기준법 제34조 제3항에 의하면 사업장은 근로자가 요구할 경우 근로한 기간에 대하여 퇴직금을 중간정산하여 지급할 수 있.. 2022. 1. 24.
근로기준법 연차 발생기준, 연차일수 총정리 근로기준법 연차 발생기준과 연차일수 계산은 항상 언급되는 문제입니다. 그렇다면 근로기준법 연차는 어떻게 발생하고 연차일수는 어떻게 될까요? 근로기준법 연차 발생기준 근로기준법 제60조 제1항에 따르면 1년 동안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는 15일의 유급휴가를 지급해야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1년 동안 80% 이상 출근할 시 1년에 15개의 연차가 발생하게 됩니다. 근로기준법 연차일수 근로기준법 제60조 제1항에 의하면 1년 이상, 80%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는 15일의 연차를 지급하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1년을 채우지 못한 근로자나 80%의 출근율을 충족하지 못한 근로자의 연차일수는 어떻게 될까요? 근로기준법 제60조 제2항에 따르면 근무 기간이 1년 미만이거나 1년 동안 80%.. 2022. 1. 24.
교통사고 꿈 해몽, 차 사고 꿈 해몽 총정리 안녕하세요? 제이먼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교통사고 꿈과 차 사고 꿈들의 상황별 해몽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 사고 꿈 해몽 차 사고 내는 꿈 차 사고를 내는 꿈은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합니다. 첫 번째는 본인이 주변 사람들에게 거짓말을 하거나 양심에 어긋나는 행동을 했을 때 불안감을 느끼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주변 사람들에게 잘못한 행동이 있는지 생각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두 번째는 지금 하는 일이나 사업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게 되어 새로운 방향으로 일이나 사업을 추진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차 접촉 사고 나는 꿈 차 접촉 사고는 내가 잘못했는가 상대가 잘못했는가에 따라 해몽이 다릅니다. 내가 잘못했을 경우는 흉몽에 속하며 일상 속에서 누군가와 언쟁을 벌이는 일이 생길 수 있습니다... 2022. 1. 24.
불나는 꿈 해몽, 불나는 장소와 상황별 해몽 총정리 안녕하세요? 제이먼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불나는 꿈들의 해몽을 장소와 상황별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불나는 꿈 해몽 집에 불나는 꿈, 우리 집에 불나는 꿈 집에서 나는 불은 재물을 뜻합니다. 따라서 크기가 크면 클수록 재물이 많이 들어온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갑작스런 재물이 들어오거나 목돈이 생기는 꿈입니다. 집에 불지르는 꿈 내가 불을 지르는 것은 명예와 지위가 상승하는 꿈입니다. 타인이 나의 집에 불을 지르는 것은 협력자나 조력자가 생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불을 지르는 꿈은 좋은 징조에 속합니다. 부엌에서 불나는 꿈 부엌에서 불이 나는 꿈은 두 가지 해석을 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가정 또는 본인이 하는 일에 안좋은 일이 생긴다는 것이며 두 번째는 사업이나 하는 일이 번창하.. 2022. 1. 23.
신발 세탁 방법, 깔창 세탁 방법 총정리 안녕하세요? 제이먼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신발 세탁 방법과 깔창 세탁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발 세탁 방법 신발 세탁을 하기 전에 먼저 신발의 재질을 파악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신발의 재질에 따라 세탁 방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신발 세탁 방법을 재질별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가죽 신발 가죽 신발은 물로 세탁하면 안됩니다. 또한 알칼리성 세제의 사용도 불가능합니다. 1. 가죽 전용 클리너와 헝겊을 준비합니다. 2. 가죽 전용 클리너를 가죽에 펴 발라준 후 헝겊으로 닦아줍니다. 3. 그 후 신발을 그늘에서 말려줍니다. 면 신발 1. 신발을 세탁하기 전에 끈을 제거해줍니다. 2. 끈을 제거한 후 신발을 한 번 털어줍니다. 3. 그 후 신발을 넣을 대야를 준비하고 물과 주방세제, 과탄산소.. 2022. 1.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