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모음

근로기준법 시간외 근무수당, 초과근무수당 계산방법

by 제이먼 2022. 1. 25.
반응형

정시출근, 정시퇴근은 모든 직장인들이 바라는 복지지만 지켜지지 않는 곳이 많습니다.

 

그렇다면 근로기준법 시간외 근무수당, 초과근무수당에 대한 계산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은 어떻게 명시되어 있을까요?

 

근로기준법 제50조에 의하면

 

일주일동안 근로시간은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도록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40시간에는 휴게시간은 포함되지 않으며 근로시간만 포함됩니다.

 

또한 하루의 근로시간은 8시간을 넘길 수 없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8시간도 마찬가지로 휴게시간이 포함되지 않은 근로시간을 말합니다.

 

근로기준법 제53조 제1항에 의하면

 

당사자 간에 합의가 있을 경우 일주일에 12시간의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자 간에 합의를 할 경우 주 52시간 근로가 가능합니다.

 

직장인-이미지
출처 - 1boon, 더스쿠프, 게티이미지뱅크

반응형

 

근로기준법 시간외 근무수당, 초과근무수당 계산방법은?

 

근로기준법 제56조에 의하면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에 대해서는

 

통상임금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휴일근로의 경우에는 8시간 이내는 통상임금의 50%,

 

8시간 초과는 통상임금의 100%를 가산하여 지급하도록 명시되어 있습니다.

 

근로기준법-제53조
출처 - 국가법령정보센터

 

근로기준법-제59조
출처 - 국가법령정보센터

 

근로기준법-제69조
출처 - 국가법령정보센터

 

따라서 연장근로를 할 경우 계산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통상시급 x 연장근로시간 x 150%

 

예시) 시급 1만원을 받는 근로자, 주5일 근무, 근무시간 오전 9시-오후 6시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5일동안 오후 7시까지 근무를 해서

 

일주일동안 5시간을 초과근로를 했을 시

 

연장근로수당은 10,000원 x 5시간 x 150% = 75,000원 입니다.

 

요약

더보기
  • 근로시간은 하루 8시간, 주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그러나 당사자 간 합의를 한 경우에는 주 12시간의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 연장근로의 경우 통상임금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연장근로수당으로 지급해야한다. 

 


 

 

근로기준법 연차 발생기준, 연차일수 총정리

근로기준법 연차 발생기준과 연차일수 계산은 항상 언급되는 문제입니다. 그렇다면 근로기준법 연차는 어떻게 발생하고 연차일수는 어떻게 될까요? 근로기준법 연차 발생기준 근로기준법 제60

issue-do-ob.tistory.com

 

근로기준법 퇴직금 지급규정, 퇴직금 중간정산 총정리

퇴직금은 직장인들에게 꼭 필요한 존재입니다. 그렇다면 근로기준법 퇴직금 지급규정은 어떻게 될까요? 근로기준법 퇴직금 지급규정 근로기준법 제34조 제1항에 따르면 퇴직금은 계속근로년수

issue-do-ob.tistory.com

 

근로기준법 근무시간 휴게시간 총정리

직장에서 일을 하거나 아르바이트를 할 때 근무시간과 휴게시간은 가장 중요한 요소에 속합니다. 근로기준법 근무시간 근로기준법 제50조 제1항에 의하면 일주일 동안 근무하는 시간은 40시간을

issue-do-ob.tistory.com

 

근로기준법 해고예고, 해고사유 통지방법

사업장에서 직원을 해고하려고 한다면 어떻게 해고예고를 하고 해고사유는 어떻게 전달해야 할까요? 근로기준법 해고예고 근로기준법 제26조에 의하면 사업장에서 근로자를 해고하려는 경우

issue-do-ob.tistory.com

반응형

댓글